오늘은 정말 놀라운 소식이 뉴욕 증시에서 들려왔습니다.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3대 지수가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소식인데요. 4월 저점 이후 무려 15조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랠리가 계속되고 있다는 건, 단순한 상승세를 넘어선 무언가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이제는 조정을 겪을 때가 됐다"고 외치고 있지만, 시장은 오히려 그 목소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거침없이 위로 향하고 있습니다. 대체 왜 이런 현상이 계속되는 걸까요? 그리고 이 랠리는 과연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요?

사상최고가원동력


금리인하, 투자 심리에 기름을 붓다

미국 연준의 금리 결정은 전 세계 금융 시장의 향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최근, 연준의 태도가 완화적으로 바뀌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한껏 높아졌습니다. 이른바 '매파', 그러니까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던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까지도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는 발언을 했으니 말 다 했죠.

사실 연준은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꽤 오랫동안 고금리 정책을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잡히는 모습을 보이자, 금리를 내릴 여지가 생긴 겁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우 반가운 소식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고,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기업의 이익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경기 침체 없이 금리를 내린다는 것은 그야말로 '베스트 시나리오'에 가깝습니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전문가도 이런 환경에서의 금리 인하는 역사적으로 주식 시장을 지지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지금 뉴욕 증시의 랠리는 바로 이런 기대감 위에서 펼쳐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주가 이끄는 AI 시대의 서막

이번 랠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단연 기술주들의 약진입니다. 특히 애플은 신형 아이폰17의 사전 구매 물량이 늘었다는 소식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 등도 1% 이상 오르면서 시장 전체의 상승을 견인했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단순히 몇몇 기업의 주가가 올랐다는 사실을 넘어섭니다. 지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AI)'이라는 거대한 흐름입니다. AI 기술은 이제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기업의 생산성을 혁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때문에 AI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분석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BofA 전략가들은 20세기 이후의 주식시장 버블들을 분석하면서, 과대평가 국면에서 바닥 대비 평균 244%의 상승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들이 2023년 3월 저점 이후 약 223%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아직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거죠. 시장의 상승세가 이처럼 논리적인 근거와 함께 펼쳐지고 있다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큰 확신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긴장 완화, 불확실성을 걷어내다

뉴욕 증시 랠리의 또 다른 중요한 배경에는 미중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글로벌 시장에 큰 불안 요인이었던 미중 무역 갈등이 최근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 통화에서 틱톡 매각 문제 등 현안에 대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입니다.

미중 관계는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양국 간의 무역 긴장감이 해소되면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이는 곧 투자 심리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기술주에 투자하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중국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과거에는 미중 갈등이 심해질 때마다 기술주들의 주가가 크게 흔들렸던 것을 생각하면, 이번 소식은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가 견고한 상태에서 정치적 리스크까지 줄어들고 있으니, 주식 시장이 강세를 보일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는 셈입니다.


앞으로의 시장 전망, 랠리는 계속될까?

물론, 지금의 과열된 분위기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9월은 전통적으로 주식 시장의 조정이 나타나기 쉬운 시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은 S&P500의 현재 가치나 변동성을 볼 때, 약간의 조정은 '정상적이고 건전한'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계속 오르기만 하는 시장은 오히려 위험하다는 것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UBS의 전문가는 S&P500 지수가 2026년 6월까지 6800,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75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들의 예상 근거는 AI 기술의 발전과 기업 실적 개선, 그리고 견고한 소비입니다. 즉, 지금의 랠리가 단순히 기대감에만 기반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 증가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지금의 뉴욕 증시 랠리는 여러 긍정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연준의 완화적인 통화 정책, AI 기술이 이끄는 기업들의 혁신, 그리고 미중 관계 개선이라는 거시적인 흐름이 모두 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섣부른 추격 매수에 나서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숨 고르기'의 필요성을 언급하는 것처럼, 시장의 일시적인 변동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큰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계획에 맞춰 현명하게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닌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