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본코리아의 주가가 상장 후 계속 하락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지고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의 사재 출연과 글로벌 사업 계획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 반등은 일시적이었고, 2분기 실적 부진과 브랜드 신뢰도 하락, 오버행 물량 등이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넷플릭스 콘텐츠 공개와 글로벌 소스 사업 확장 목표는 긍정적인 기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백종원의 이름값, 주가로는 부족했던 이유
더본코리아는 상장 당시부터 많은 기대를 모았습니다. ‘백종원’이라는 이름 자체가 가진 브랜드 파워가 워낙 컸기 때문이죠. 공모가 3만 4000원으로 시작해 상장 첫날 한때 90% 가까이 주가가 치솟았던 것도 이러한 기대감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마치 롤러코스터처럼 가파르게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공모가보다 25% 가까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 하락의 배경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2분기 실적 부진은 투자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53%나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죠. 여기에 원산지 허위표시나 위생 논란 같은 브랜드 신뢰도 문제가 겹치면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상장 6개월 이후 풀린 오버행 물량도 주가에 부담을 주면서 주가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백 대표의 초심과 글로벌 비전
연이은 악재 속에서도 더본코리아는 반전을 꾀하고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는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방송 활동을 줄이며 본업인 경영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100억 원의 사재를 출연하며 책임 경영을 보여주었죠. 이는 주가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고 회사의 성장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더본코리아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글로벌 소스 사업을 제시했습니다. 2030년까지 해외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아시아, 미주, 유럽을 중심으로 한 단계적 현지화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단순히 소스를 수출하는 것을 넘어, 백종원 대표의 레시피와 푸드 컨설팅 노하우를 함께 제공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포부입니다. 이미 지난해 136억 원의 해외 매출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이 계획이 주가 부진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넷플릭스 흥행, 재도약의 발판이 될까
더본코리아의 주가에 대한 또 하나의 기대 요인은 바로 넷플릭스 콘텐츠입니다. 오는 12월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시즌2'의 공개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더본코리아는 이미 시즌1의 성공으로 상장 당시 흥행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번 시즌2 역시 백종원 대표의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흥행에 성공한다면, 이는 곧 더본코리아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것이 순탄치만은 않습니다. 리서치알음과 같은 독립 리서치에서는 여전히 하반기에도 실적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빽보이 피자'의 도우 및 소스 공급가 인상 소식은 자칫 브랜드 이미지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현재 바닥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백종원 대표의 새로운 사업 계획과 넷플릭스 콘텐츠 공개라는 긍정적인 요인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과연 더본코리아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한번 투자자들에게 '맛'있는 성장을 보여줄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해집니다.
*참고: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닌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