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서울 집값과 전월세 가격 때문에 한숨 쉬는 분들 많으시죠? ‘인구는 줄어든다는데 왜 집값은 떨어질 생각을 안 할까?’라는 의문 한 번쯤 가져보셨을 겁니다. 단순히 수요와 공급 논리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이 미스터리, 그 안에 숨겨진 진짜 원인을 함께 파헤쳐 볼까 합니다. 

서울 가구수


인구는 감소하는데, 가구 수는 왜 늘어날까?

많은 분들이 ‘인구가 줄어들면 집이 남아돌아야 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시곤 합니다. 맞는 말 같지만, 여기서 중요한 핵심을 놓치고 있습니다. 바로 ‘가구 수’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인구는 2016년 1,000만 명 아래로 내려온 후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와 동시에 놀랍게도 가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예전에는 3~4인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가 많았지만, 이제는 1인 가구나 2인 가구로 분화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졌기 때문입니다. 자녀들이 독립하거나, 부부가 이혼하거나, 노년층이 혼자 사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한정된 인구 안에서 '집이 필요한 최소 단위'인 가구의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이죠. 예를 들어, 4인 가족이 살던 집이 자녀 독립 후 2인 가구로 줄어들고, 독립한 자녀가 새집을 구하면 1인 가구가 하나 더 늘어나는 셈입니다. 결과적으로 집이 필요한 가구의 수는 1가구에서 2가구로 증가하는 것이죠.


주택 공급, 가구 수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실

이처럼 가구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데, 과연 주택 공급은 그 속도를 따라가고 있을까요? 최근 3년간 서울의 연평균 가구 수 증가량은 약 5.3만 가구였지만, 같은 기간 주택 수 증가량은 3.3만 가구에 그쳤다고 합니다. 매년 2만 가구씩 '초과 수요'가 발생하는 셈이죠. 쉽게 말해, 매년 2만 가구씩 새로운 집이 필요한데, 실제로는 그만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2만 가구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 오신다고요? 2024년 4월에 입주를 시작한 서울 성동구의 ‘청계리버뷰자이’가 총 1,670세대 규모이고, 강남구의 '개포자이프레지던스'가 총 3,375세대입니다. 이처럼 대규모 아파트 단지 몇 개를 지어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것이죠. 이러한 공급 부족 현상이 누적되면서 서울의 주택 부족분은 이미 26만 가구를 넘어섰다고 분석됩니다.


전국적인 통계는 ‘초과 공급’, 하지만 서울은 ‘초과 수요’

혹시 “전국적으로는 주택 공급이 충분하다던데?”라는 뉴스를 보신 적이 있나요? 사실 그 말도 맞습니다. 2023년 전국적으로는 가구 수 증가분보다 주택 수 증가분이 더 많았으니까요. 문제는 '어디에 공급되었는가'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이 아닌 지방, 즉 비수도권 지역에서 초과 공급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처럼 전국적인 통계만 보면 주택이 충분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고 가구 분화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서울과 수도권은 여전히 주택 공급이 부족한 불균형 상태인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인구 감소 시대에도 서울의 집값과 전월세 가격이 쉽게 내려가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맞춤형 공급 대책'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단순히 주택 공급량을 늘리는 것만이 아니라, 서울과 수도권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예를 들어, 1~2인 가구가 선호하는 소형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한다든지, 도심 내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빠르게 주택 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합니다.

물론 주택 공급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구 감소 시대에도 집값 상승이 계속되는 이유는 단순히 투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1~2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 변화 속에서 주택 공급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나면,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도 한층 더 넓어질 것입니다.

*참고: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닌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